투자(Investment)

미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할 수 없는 이유

Mr.Nuup 2025. 4. 29. 09:13

미국 행정부는 애플이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하기를 원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아이폰은 약 2,700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제품이며, 전 세계 28개국 187개 공급업체의 협력으로 만들어집니다. 현재 아이폰 부품 중 미국에서 생산되는 것은 5%도 안 되며, 대부분은 중국, 대만,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 만들어집니다.

 

스마트폰을 미국에서 생산하려는 시도는 과거에도 실패한 적이 있습니다. 2013년 모토로라는 미국 텍사스에 스마트폰 공장을 열었지만, 높은 비용과 낮은 판매량 때문에 1년 만에 문을 닫았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애플이 미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하길 원했지만, 전문가들은 이를 매우 비현실적인 계획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만약 미국에서 전부 생산한다면 아이폰 가격이 최대 3,5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문제는 단순히 인건비만이 아닙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중국은 값싼 노동력뿐 아니라 빠르고 유연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인프라를 구축해 왔습니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쉽게 중국을 떠날 수 없습니다. 또한 애플의 공급망은 단순히 조립만 중국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칩, 배터리 등 핵심 부품까지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만들어진 뒤 중국에서 최종 조립되는 복잡한 구조입니다.

애플은 이미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인도에서 생산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인도는 낮은 인건비, 정부 지원, 영어 사용 인구, 커지는 내수 시장 등 여러 장점을 갖고 있어 애플이 미국에 공급할 아이폰을 인도에서 조립할 계획입니다. 2024년 기준, 애플은 인도에서 전체 아이폰 생산량의 약 16%를 조립했으며, 곧 20%까지 늘어날 전망입니다.

 

하지만 완전한 공급망 이전은 간단하지 않습니다. 인도에는 아직 중국만큼 발달된 공급업체 클러스터가 없고, 중국과 인도 간 정치적 긴장도 장비 이전과 인력 이동에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일부 전문 부품은 대만이나 한국 업체가 독점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대체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미국으로 생산을 옮긴다고 해도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폰의 금속 프레임은 고급 CNC(컴퓨터 수치 제어) 기계로 가공되는데, 이런 기계가 중국에는 수천 대가 존재하지만 미국에는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또, 나사 하나를 조립하는 데도 중국에서는 저임금 인력을 쉽게 활용할 수 있지만, 미국에서는 높은 인건비와 노동시장 환경 때문에 자동화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아직 자동화 기술도 충분히 발전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아이폰 제조에 필요한 희토류 금속 대부분이 중국에서 채굴되고 가공되기 때문에, 중국과의 무역 분쟁은 부품 조달에도 큰 리스크가 됩니다. 실제로 중국은 트럼프 정부의 관세 조치에 대응해 희토류 수출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경고를 한 바 있습니다.

애플은 장기적으로 중국 외의 다른 나라로 생산기지를 분산시키려 하고 있습니다. 인도 외에도 베트남, 브라질이 후보지로 꼽히고 있으며, 브라질은 특히 내수 시장이 크고 미국, 라틴 아메리카, 유럽으로 수출하기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원하는 "아이폰 미국 생산"은 현재로서는 실현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공급망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중국에 깊이 뿌리내려 있으며, 이를 단기간에 해체하거나 미국으로 옮기기에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애플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점진적으로 인도나 다른 국가로 생산을 분산시키고 있으며, 이 과정은 앞으로 수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20x100